리더십 팀 앙상블

조직을 이끄는 리더들이 하나의 소리를 내기 위한 정렬의 과정

설마 내가 악질 상사? 직원들이 생각하는 악질 상사의 전형적인 행동들

조사 기관 해리스 폴(The Harris Poll)이 미국의 직장인 1,2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7명(71%)은 직장 생활을 하면서 악질 상사(toxic boss)를 만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들이 생각하는 악질 상사의 특성은 무엇일까? ‘비합리적인 기대치 설정(51%)’, ‘불필요하게 내 업무의 세부 사항까지 지나치게 관여(49%)’, ‘특정 팀원에게 부당한 특혜 제공(49%)’이 상위를 차지했다.

현재 악질 상사와 함께 일하고 있는 직원들은 직장인 평균 대비 “내가 상사니까 내 말이 최종 결정이야(68%)”, “요즘 같은 경제 상황에서 직장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운이야(66%)”, “네 나이 때에는 나도 미친 듯이 일해야 했어(63%)”, “나한테 묻지 말고 상식적으로 생각해봐(62%)”, “급여 올려 준다고 했었는데, 이번에는 안될 것 같아(60%)” 등 사기를 꺾는 말을 더 높은 비율(최소 25% 이상)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에서 악질 상사를 만났을 때 구성원들이 보이는 반응으로 ‘적극적인 구직 활동(39%)’, ‘의도적으로 업무 노력을 줄임(38%)’, ‘직장 밖 관계에서 불만 토로(37%)’가 이어졌다. 이들 다수는 현재 불안정한 경제 상황 때문에 악질 상사를 견디며 일하고 있지만(73%), 채용 시장이 호전되는 대로 직장과 상사를 바꿀 준비를 하고 있는 것(69%)으로 나타났다.

악질 상사의 행동은 상사에게 요구되는 행동에서 벗어나서 비난받는 것이 아니다. 누구라도 싫어할 행동을 권위와 힘이 있는 사람, 즉 상사가 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 크게 미치게 된다. 특히 요즘 같이 ‘존중받고 성과에 대한 개인의 기여가 인정되는 조직문화’를 돈 못지 않게 중요하게 고려하는 구성원들에게 그저 “네가 좀더 이해해”라는 말은 효력이 없을 뿐더러 조직 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을 기대(58%)했던 이들에게 실망만 안기게 될 것이다.

양민경 | 성장 퍼실리테이터
양민경 | 성장 퍼실리테이터
조직과 그 구성원들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더 나아가도록 돕는 것이 저의 미션입니다. 구성원들이 자신이 보유한 탁월성을 발견하여 최상의 역량을 발현하고 최고의 성취를 얻을 수 있도록 영감을 주는 아이디어를 전달하고, 근거 기반의 방법론을 통해 행동 변화를 이끌어 냅니다.

댓글 남기기

댓글 입력하기
Please enter your name here

뉴스레터 구독하기

카테고리